분류 전체보기 452

국내 최대 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 영광낙월 해상풍력

탄소중립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중요한 발걸음을 내딛고 있습니다. 바로 영광 낙월(낙월Ⅰ) 해상풍력 발전단지 건설사업입니다. 전라남도 영광군 낙월면 안마도와 송이도 인근 해역에서 진행 중인 이 프로젝트는 국내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 단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사업 개요 ⚡사업명: 영광 낙월(낙월Ⅰ) 해상풍력 발전단지위치: 전남 영광군 낙월면 안마도·송이도 인근 해역설비 용량: 364.8MW (5.7MW 풍력터빈 64기 설치)사업비: 약 2조 3천억 원전력 생산량: 서울시 연간 전력 사용량의 약 6.35%를 공급할 수 있는 수준투자 회수 계획: 완공 후 15년간 전력 판매를 통해 회수전력 이송 경로: 생산된 전기는 송이도 육상 변전소를 거쳐 육지로 전달사업의 의의 🌱낙월블루하트의 김욱진 전무는 "풍력발전기는 ..

관세, 누가 내는 걸까? 미국 수입업자가 알려주는 현실

관세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외국이 돈을 내는 거잖아?”라는 말을 듣곤 합니다. 하지만 이번에 본 Walter Masterson의 영상, *“Tariffs Explained to MAGA by a Professional Importer/Exporter”*를 보면, 그 생각이 얼마나 큰 오해인지 바로 알 수 있습니다.영상 속 수입업자는 단호하게 말합니다.“관세는 외국이 내는 게 아닙니다. 수입자가 냅니다.”쉽게 말해, 중국에서 들어온 물건에 관세가 붙으면 그 돈을 내는 건 미국 세관 앞에 선 미국 수입업체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끝이 아니죠. 수입업체는 그 비용을 물건 가격에 포함시켜 판매합니다. 결국 가게에 진열된 제품 가격이 오르고, 그 차이를 메우는 건 바로 소비자입니다.이 흐름을 정리해 보면 이렇습니..

관심++ 2025.08.13

노르웨이 에퀴노르와 한국의 ‘반딧불이(Firefly)’ 프로젝트 투자 검토

⚡️울산 앞바다에서 펼쳐질 ‘반딧불이’ 해상풍력 프로젝트⚡️노르웨이 에너지 기업 에퀴노르사(Equinor) 가 진행 중인 울산 앞바다의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 ‘반딧불이’(Firefly/Bandibuli)에 대해,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과 한국전력 발전 자회사가 지분 참여를 검토 중 ⚡ 노르웨이 에너지 기업 에퀴노르(Equinor) 가 울산 앞바다에서 추진 중인 부유식 해상풍력 프로젝트 ‘반딧불이’ 에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한국전력 발전 자회사가 지분 투자를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750MW 규모로,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초대형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로 알려져 있어요. 위치는 울산항에서 동쪽으로 약 60~70km 떨어진 배타적 경제수역(EEZ) 입니다.현재 에퀴노르는 단독 입찰을 통해..

유니슨, 20MW+ 해상풍력터빈 개발 국책 과제 참여… 초대형 국산화 첫걸음

국내 풍력발전 전문기업 유니슨이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추진하는 20MW급 이상 해상풍력터빈 기본설계 과제에 참여하게 되었어요!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 설계를 넘어, 실증과 상용화까지 염두에 둔 국산 초대형 해상풍력 기술의 첫 설계 로드맵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유니슨은 블레이드, 발전기, 메인 베어링 등 터빈 핵심 부품 개발과 시스템 통합 설계를 맡게 되었고요, 전체 과제는 약 80억 원 규모, 4년간 진행될 예정이에요. 한국재료연구원이 주관하고, 국내 산·학·연이 힘을 모아 컨소시엄을 구성했습니다. 이 과제의 핵심 목표는 바로, 20MW+급 해상풍력터빈을 국내 기술로 설계하는 것! 해외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국내 조선·기계·전자 산업과의 연결을 통해 에너지 안보와 산업 생..

유니슨-두산에너빌리티 해상풍력터빈 자체 개발

유니슨 X 두산에너빌리티, 해상풍력 터빈 국산화에 맞손국산 대형 해상풍력터빈을 개발·공급할 수 있는 유일한 두 기업, 유니슨과 두산에너빌리티가 드디어 손을 잡았습니다.7월 2일, 양사는 ‘해상풍력 공급망 컨퍼런스’ 현장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국내 해상풍력 생태계를 키워가기 위한 협력을 시작했어요.어떤 협력을 하기로 했을까? 해상풍력 관련 기술 협력 및 부품 개발 O&M(운영·유지보수) 분야 공동 대응 전문 인력 양성과 제도 개선 해외 시장 공동 진출요약하면, 국내 기술력으로 외국산 풍력터빈 의존도를 낮추고, 자립적인 산업 생태계를 만들자는 거죠.서로 어떤 강점이 있길래?유니슨은 국내 최초로 국산 풍력발전기를 개발한 회사고, 설계부터 유지보수까지 직접 다 할 수 있는 종합 솔루션 기업이..

트럼프 정부의 새 세금법, 재생에너지에 숨통?…하지만 여전히 부족

트럼프 세금법, 재생에너지에 숨통?…하지만 여전히 부족 2025년 7월 초, 미국 상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한 세금 및 정책 법안의 최종 버전을 통과시켰습니다. 이 법안은 지난 초안보다 풍력과 태양광 같은 재생에너지에 약간 더 우호적인 방향으로 조정됐지만, 전반적으로는 여전히 재생에너지 지원을 대폭 축소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세금 혜택, 조건 완화…하지만 여전히 까다롭다 기존에는 풍력이나 태양광 같은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가 2027년까지 완공되어야만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었는데요, 이번 최종안에서는 1년 내 착공하거나, 2027년 말까지 가동되기만 해도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조건이 완화되었습니다. 그동안 많은 기업들이 일정 맞추기가 어렵다고 지적해왔기 때문에, 이 변..

이재명 정부 에너지고속도로 시작!

대한민국이 ‘에너지 전환’을 중심에 두고 산업 지도를 바꾸는 대대적인 변화에 나섭니다. 이는 단순한 에너지 정책이 아니라, 1970년대 경부고속도로 개통이 경제의 물류 흐름을 바꿨듯, 국가 산업 전반을 뒤흔들 새로운 인프라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에너지고속도로란?‘에너지고속도로’는 재생에너지의 생산지와 수요지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초고압직류송전망(HVDC)**을 말합니다. 특히 전라남도와 같은 재생에너지 집중 생산 지역에서 수도권 등 주요 산업 수요지까지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이러한 전력망 인프라는 재생에너지 확대의 최대 장애물 중 하나인 송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수단입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서해안을 중심으로 첫 구간을 개통하고, 이후 남해안과 동해안까..

RE100 글로벌 흐름 타고, 한국은 어떻게 준비하고 있나

🔹 재생에너지 전환 및 RE100 달성 관련 주요 브리핑 요약1. 글로벌 시장 동향: 미국 중심의 재생에너지 확대무엇이: 미국의 재생에너지 설치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왜: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의 클린에너지 세액공제가 주요 동력으로 작용.언제/어디서: 2024년부터 2028년까지 미국 내 태양광 및 풍력 설비 증가 예상.어떻게: 태양광·풍력 설치량이 2024년 43.4GW에서 2028년 67GW까지 확대.추가사항: 공화당 주도의 하원에서 IRA가 축소되었으나, 상원에서 일부 조항(예: 60일 착공 요건)에 대한 완화 논의가 진행 중. 이는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준비 기간 확보에 긍정적 영향을 줄 전망.2. 대한민국 RE100 달성 현황: 낮은 참여율과 과제무엇이: 국내 기업의 RE100..

미 하원 IRA 수정안 통과, 상원서 재생에너지 세액 공제 '칼질' 되돌릴까

최근 미국 하원에서 통과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수정안 이 **청정 에너지 투자 및 생산 세액 공제(ITC/PTC)**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 논의를 다루고 있습니다. 하원 수정안은 초안보다 세액 공제 지급 기준과 기간을 강화 및 단축 하며, 특히 법 발효 후 60일 이내 건설 시작 증명 조항을 포함하여 재생에너지 사업 계획 축소 가능성 을 제기합니다. 하지만 공화당 상원 의원들은 이러한 급격한 변화에 대해 우려 하며 수정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낮은 발전원가와 짧은 공기 등 재생에너지 자체의 강점으로 인해 중장기적인 에너지 시장 판도 변화는 없을 것 이라는 전망도 제시됩니다. 궁극적인 IRA 수정안은 7월 초 상원에서 최종 결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IRA 수정안: 하원의 '..

[2025년 대선] 데이터센터 전력은 재생에너지인가? 원전인가?

대선 토론회에서 제기된 '데이터센터 전력원' 관련 주장에 대한 팩트 체크 정리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데이터센터에 재생에너지는 부적합하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릅니다.(ㄹㅇㅋㅋ 꺼지라)📌 1. 데이터센터 전력, 주로 무엇으로 공급되나?**IEA(국제에너지기구)**가 2024년 4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2024~2035년 데이터센터용 신규 발전설비 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재생에너지 65%에너지저장장치(ESS) 14%가스 11%원자력 6%석탄 4%👉 재생에너지와 ESS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원전과 가스는 보조 전원 역할에 가까운 수준입니다.📌 2. 왜 재생에너지가 데이터센터 전력원으로 선택되나?낮은 발전단가: 태양광과 풍력은 가장 저렴한 발전원 중 하나짧은 설치 기간: 원전 대비 설..

카테고리 없음 2025.05.20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