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관심++/투자&주식공부 202

에너지에 좌파, 우파가 왜 필요합니까?(OPQR 한병화 인터뷰 요약)

본 포스팅은 유튜브 채널 OPQR에서 한병화 애널리스트와의 영상을 요약 정리한 내용입니다.   이 영상은 재생에너지가 단순한 환경 문제를 넘어선 글로벌 제조업 패권 전쟁임을 강조합니다. 한국이 재생에너지산업에서 필요한 모든 인프라와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논쟁과 규제로 인해 잠재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지적합니다. 에너지 전환은 국가 경쟁력의 핵심 이슈이며, 저탄소 산업 구조로의 전환은 피할 수 없는 흐름입니다. 한국은 제조업 강국으로서의 강점을 살려 에너지 전환을 이끌어야 하며, 이를 통해 경제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습니다. 재생에너지투자는 일자리 창출과도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정치적 이념을 넘어선 사회적 합의가 필요합니다.    1. ⚡ 재생 에너지와 글로벌 패..

파크시스템스, 반도체 시장의 숨은 챔피언💎 (feat. 원자현미경)

📌 블로그 제목: 『파크시스템스, 반도체 시장의 숨은 챔피언💎 (feat. 원자현미경)』 👀  포인트1️⃣ 파크시스템스는 원자 단위까지 볼 수 있는 나노기술의 핵심 장비, ‘원자현미경(AFM)’을 만드는 회사예요. 비접촉 방식으로 반도체 산업에서 독보적 경쟁력 확보! 🌐🔬2️⃣ 산업용 원자현미경 시장에서 글로벌 점유율 약 80%📈를 차지하며, 삼성전자, TSMC 등 굵직한 반도체 회사들이 주요 고객! 반도체 미세화 추세로 꾸준한 성장이 기대돼요. 🚀3️⃣ 2025년 매출액 2,101억 원(+20.0%), 영업이익 506억 원(+31.4%) 전망! 💰 성장 배경에는 반도체 미세화와 AI 반도체 수요 증가가 큰 몫을 합니다.4️⃣ 중국의 반도체 투자 둔화 우려에도 오히려 중국 내 반도체 장비 ..

독일의 확장 재정 정책과 그린산업의 기회

독일의 확장 재정 정책과 그린산업의 기회 🌱🚀독일 신임 연정이 재정 확장 정책을 공식화하면서 5천억 유로 규모의 인프라 투자를 확정했습니다. 이 중 1천억 유로는 기후 전환 산업에 직접 투입될 예정이며, 이는 배터리, 풍력, 전력 인프라 관련 국내 기업들에게 큰 기회가 될 전망입니다. 🌍⚡1. 독일 재정 확장 정책의 주요 내용 🏗️독일 정부는 부채 제한(Debt Brake) 법을 수정하여 5천억 유로를 인프라에 투자.4천억 유로는 전력망, 도로 등 기본 인프라에, 1천억 유로는 친환경 산업에 사용.2045년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헌법으로 명문화하여 정책 연속성 확보.2.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 독일의 전기차 구매 보조금이 부활할 가능성이 높아, 유럽에 진출한 국내 배터..

[주식공부] SK 오션플랜트 : 해상풍력특별법 통과 기대주

해상풍력특별법 통과, SK오션플랜트 수혜 기대해상풍력특별법이 마침내 통과되면서 국내 해상풍력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이 법안은 그동안 분산되어 있던 관련 규제를 통합하여 산업부 장관의 승인만으로 원스톱 처리가 가능하도록 개편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해상풍력 단지의 완공 기간이 기존 최대 10년에서 절반으로 단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해상풍력 시장 확대 전망현재 국내 해상풍력 연간 설치량은 0.1GW에 불과하지만, 2030년까지 1.4GW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연간 최대 3GW까지 시장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국은 RE100 도입 수요가 높은 국가로, 해상풍력 설치 가능 지역도 풍부합니다. 초기에는 고정식 해상풍력이 주를 이루겠지만, 2030년 이후에는 부유식 해상풍력 ..

독일 총선과 유럽 전기차 시장 전망 🚗⚡

독일 총선이 전기차 시장에 미치는 영향 🗳️ 23일 독일 총선에서 중도 보수 정당인 CDU/CSU 연합이 1당이 될 가능성이 크지만, 과반을 확보하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연립정부 구성이 필수적이며, SPD(사회민주당)나 녹색당(Grüne)과의 협력이 예상됩니다.CDU는 내연기관차의 2035년 판매 금지에 반대하지만, 연립정부 내 다른 정당들의 친환경 정책 기조로 인해 전기차 관련 부정적인 정책 도입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됩니다. 🌿  독일 총선 여론조사 결과 📊정당지지율(%)CDU/CSU (기독교민주연합)30.8AfD (독일을 위한 대안)20.1SPD (사회민주당)15.8Grüne(녹색당)13.6기타 (좌파당 등)-   유럽 전기차 시장 성장세 📈 올해 1월 유럽 전기차 판매량은 약 ..

[주식공부] 씨에스윈드 📊

씨에스윈드 개요(종목코드 112610.KS)투자 전문회사들의 목표 주가 : 80000원(유진투자증권). 에프앤가이드(67625원), 메리츠증권(64000원), 삼성증권( 6만5천원)시가총액: 1.7조 원2025년 PER: 10.5배 (해외 업체 평균 16.5배 대비 저평가)2024~2026년 실적 전망 (십억원)항목2023A2024P2025E2026E매출액1,520.23,070.92,977.43,749.0영업이익104.7275.4275.1304.4당기순이익18.9163.2168.3202.4영업이익률6.9%9.0%9.2%8.1%  주요 내용 🔍4분기 매출은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으나, 감가상각비 반영이 주요 원인미국, 베트남, 터키의 해상 및 육상 타워 수요 증가 예상2025년 매출 하락 예상 (오프쇼어 ..

해상풍력촉진법 산자위 통과, 대한민국 해상풍력의 새로운 도약🌊⚡

해상풍력촉진법 산자위 소위 통과! 해상풍력촉진법(이하 해촉법)은 해상풍력 발전을 활성화하기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는 법안입니다. 그동안 해상풍력 발전은 규제와 인허가 문제로 인해 발전 속도가 더뎠습니다. 하지만 이번 법안이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 소위원회를 통과하면서 해상풍력 시장이 본격적으로 개화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대한민국 해상풍력 시장의 현황과 성장 가능성현재 우리나라의 해상풍력 누적 설치량은 0.2GW(기가와트)에 불과하지만, 정부는 2030년까지 이를 14.3GW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약 100조 원 이상의 투자가 필요합니다. 2024년 신규 설치량이 99MW(메가와트)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시장이 급격히 확대될 가능성이 큽니다.한국은 해상풍력 터빈을 ..

더존비즈온 2024년 4분기 리뷰: 재성장 궤도 진입 성공

🔍 4Q24 실적 요약매출액: 1,115억 원 (+7.6% YoY)영업이익: 294억 원 (+18.9% YoY)시장 예상치(매출 1,094억 원, 영업이익 244억 원) 대비 영업이익이 크게 상회코로나19 이후 8분기 연속 성장세 지속📈 주요 성장 요인ERP 사업부문 성장AI 기술 적용으로 비용 절감신제품 효과 기대 (1Q25 전망)🔮 2025년 전망1Q25 예상 매출 1,091억 원 (+15.6% YoY)영업이익 233억 원 (+28.9% YoY)ERP 및 AI 기반 SaaS 사업 확대로 지속 성장 예상 ✅ 꾸준한 실적 성장 & AI 활용한 수익성 개선✅ 1Q25에도 성장 지속 전망✅ 이번주 들어 몇몇 증권사에서 매수 의견과 함께 목표주가 높게 제시

[주식공부] 전진건설로봇(079900,KS)

전진건설로봇: 글로벌 CPC 시장에서 성장하는 강자미국 인프라, 우크라이나 재건에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되는 회사  📌 회사 개요전진건설로봇(079900.KS)은 콘크리트 펌프카(CPC, Concrete Pump Car) 전문 제조업체로, 글로벌 시장에서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1991년 CPC 국산화를 시작으로 1999년 전진중공업을 설립하였으며, 2021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주요 특징CPC 전문 제조업체: 건설 현장에서 필수적인 장비로 수요 지속수출 중심의 성장: 2023년 기준 수출 비중 75.1% (북미 41.5%, 유럽 18.7% 등)기술력 확보: 75개 이상의 모델 보유, 34개 해외 거점 운영📊 주요 매출 비중 (2023년)구분비중 (%)건설기계 제품90.6건설기계 ..

[주식공부] 선진뷰티사이언스(086710.KQ)

선진뷰티사이언스, 2025년 ODM 사업 본격화1. 2024년 4분기 실적 및 배경항목2024년 4분기 예상 실적매출액168억 원 (-6.2% YoY)영업이익18억 원 (-10.2% YoY)📉 4분기 실적 부진의 원인은 중국 법인의 재고 조정과 내수 경기 침체 때문이었으나, 연말부터 중국 내 매출이 정상 수준을 회복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음. 2. 2025년, ODM 사업 본격 진출 💄미국 OTC 시장 전용 공장 🚧장항공장 여유 부지를 활용한 ODM 공장 건설 중 (6월 가동 예정)초기 생산능력(CAPA): 매출액 기준 약 500억 원 규모미국 시장 대응을 위해 FDA 인증 유지2025년 ODM 매출 49억 원 예상 (하반기 양산 개시 및 초기 램프업 과정 고려)  📦 수주 상황: 이미 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