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SKT 해킹 사건, USIM 교체가 정말 효과 있을까?

북한산 종이호랭이 2025. 4. 29. 14:28
300x250

 

최근 SK텔레콤의 핵심 통신 인프라인 **HSS(Home Subscriber Server)**가 해킹되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이용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가입자 인증 정보를 포함한 민감한 데이터가 유출되었다는 점에서 파장은 적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SKT는 일부 가입자에게 USIM(유심) 교체를 안내하고 있는데, 과연 이것이 실질적인 보안 대책이 될 수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HSS 해킹의 위험성, USIM의 역할, 그리고 교체의 실효성에 대해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HSS는 어떤 서버이고, 왜 해킹이 치명적인가?

HSS는 간단히 말해 모바일 통신 가입자의 ‘디지털 신분증’을 저장하는 핵심 서버입니다. LTE나 5G 단말이 통신망에 접속할 때, HSS에 저장된 정보와 USIM에 담긴 정보(IMSI, 인증 키 등)를 비교하여 인증 및 접속을 허용합니다.

따라서 HSS가 털리면 다음과 같은 위험이 발생합니다:

  • 가입자의 IMSI(국제 가입자 식별번호), Ki(인증키) 등 유출
  • 해커가 해당 정보를 복제하여 불법 단말을 만들어 인증 우회
  • 문자/통화 도청, 위치 추적, 사칭 등 통신 보안 위협

USIM이란? 왜 교체가 논의되는가?

USIM은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담고 있는 칩 형태의 보안 매체입니다. 내부에는 IMSI와 Ki 같은 중요한 인증 정보가 암호화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이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사 네트워크에 접속하게 됩니다.

이번 해킹 사건으로 인해 Ki가 유출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유출된 인증 키를 폐기하고 새로운 Ki가 탑재된 USIM으로 교체하는 조치가 논의되고 있습니다.


USIM 교체는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까?

✅ 실효성이 있는 경우

  • Ki가 실제 유출되었고, 해당 가입자의 Ki가 해커에게 노출되었을 경우, 기존 USIM을 유지하면 통신망 인증이 뚫릴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럴 경우 USIM 교체는 필수적인 보안 대응입니다.
  • USIM 교체 시 새로운 Ki가 발급되기 때문에, 기존에 유출된 정보로는 더 이상 인증이 불가능해집니다.

❌ 실효성이 제한적인 경우

  • 해킹이 있었더라도 Ki가 실제로 유출되지 않았거나, 해커가 이를 활용할 능력이 없을 경우, USIM을 교체해도 체감 효과는 거의 없습니다.
  • HSS 전체가 아닌 일부 데이터베이스만 침해된 경우, 해당되지 않는 사용자에게는 의미 없는 교체가 될 수 있습니다.
  • 결국 보안 사고의 전체 범위와 피해 대상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으면, 가입자 입장에서 교체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결론: 교체는 “예방 차원”의 조치일 뿐, 본질은 아니다

USIM 교체는 기술적으로는 실효성 있는 대응이 될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보다 중요한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 통신사 차원의 보안 인프라 강화
  • 해킹 범위와 피해 대상의 정확한 공개
  • 향후 유사한 사고 방지를 위한 시스템 개선

SKT의 HSS 해킹은 단순한 정보 유출을 넘어, 국민의 통신 주권과 직접 연결된 사안입니다. 단순히 USIM을 교체할 것이 아니라, 통신사와 정부 모두 보다 책임 있는 정보 공개와 대책 마련이 요구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