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특별법 통과, SK오션플랜트 수혜 기대
해상풍력특별법이 마침내 통과되면서 국내 해상풍력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이 법안은 그동안 분산되어 있던 관련 규제를 통합하여 산업부 장관의 승인만으로 원스톱 처리가 가능하도록 개편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해상풍력 단지의 완공 기간이 기존 최대 10년에서 절반으로 단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해상풍력 시장 확대 전망
현재 국내 해상풍력 연간 설치량은 0.1GW에 불과하지만, 2030년까지 1.4GW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연간 최대 3GW까지 시장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국은 RE100 도입 수요가 높은 국가로, 해상풍력 설치 가능 지역도 풍부합니다. 초기에는 고정식 해상풍력이 주를 이루겠지만, 2030년 이후에는 부유식 해상풍력 시장도 성장할 전망입니다.
SK오션플랜트의 기회
SK오션플랜트는 대만 시장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해왔으나, 이번 법 통과로 국내에서도 새로운 시장 기회를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대형 조선사를 제외하면 가장 큰 규모의 야드와 도크를 보유하고 있으며, 해상풍력 하부구조물뿐만 아니라 함정, 선박 수리, FPSO 등의 제작 경험도 풍부합니다.
특히, 국내 조선사들이 미국의 함정 및 MRO(정비·수리·운영) 사업 수주에 나서면서, 해양구조물 시장에서 공급자 우위로 전환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에 따라 SK오션플랜트의 야드와 도크 가치는 더욱 상승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부의 해상풍력 보급 목표
한국 정부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해상풍력 누적 설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했습니다.
- 2025년: 3GW
- 2030년: 18.3GW
- 2035년: 35.5GW
- 2038년: 40.7GW
현재 육상 풍력의 연간 설치량이 수백 MW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해상풍력 연간 설치량이 3GW 이상 확대되어야 합니다.
국내 해상풍력 산업의 변화
해상풍력특별법 통과로 인해 정부가 직접 해상풍력 입지를 선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업자를 입찰 방식으로 결정하는 구조가 마련되었습니다. 또한 기존 발전 허가를 받은 사업자(약 30GW 규모)들도 정부가 선정한 입지에 참여하거나 기존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는 유연성이 도입되었습니다.
이번 법안은 해상풍력 발전의 신속한 추진을 지원하는 여러 조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인허가 절차 간소화, 토지 및 어업권 수용권 인정,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SK 오션플랜트, 왜 주목받고 있을까?
SK 오션플랜트는 대형 조선사를 제외하면 가장 큰 규모의 야드와 도크를 가지고 있는 회사예요.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은 물론 함정, 선박수리, FPSO(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 등 다양한 제작 경험이 있죠.
특히 주목할 점은, 국내 대형 조선사들이 미국 함정과 MRO(유지보수) 사업을 수주하게 되면 국내 야드와 도크가 부족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거예요. 이런 상황에서 SK 오션플랜트의 생산 시설은 더욱 가치가 높아질 수 밖에 없어요.
또한 SK 오션플랜트는 그동안 대만 해상풍력 시장(연간 약 1.5GW)에 주로 의존해왔는데, 이제는 더 큰 규모로 성장할 국내 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게 되었어요. 2008년 이후 처음으로 한국 해양구조물 제조업체들에게 공급자 우위의 시장이 열릴 수 있다고 하니, SK 오션플랜트의 미래가 밝아 보입니다~!
SK 오션플랜트의 실적은?
2023년 매출액은 9,258억 원, 영업이익은 756억 원, 당기순이익은 575억 원이었어요. 2024년에는 일시적으로 매출액 6,620억 원(-28.5%), 영업이익 415억 원(-45.2%), 당기순이익 175억 원(-69.5%)으로 줄어들 전망이지만...
2025년부터는 해상풍력 시장 확대에 힘입어 매출액 1조 508억 원(+58.7%), 영업이익 543억 원(+31.0%), 당기순이익 301억 원(+71.6%)으로 크게 반등할 것으로 예상돼요. 더 나아가 2026년에는 매출액 1조 1,036억 원, 영업이익 849억 원, 당기순이익 549억 원으로 성장세가 계속될 전망이랍니다.
특히 사업 부문별로 보면 해상풍력 부문이 주요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2024년 2,392억 원에서 2026년 7,650억 원으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관심++ > 투자&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크시스템스, 반도체 시장의 숨은 챔피언💎 (feat. 원자현미경) (0) | 2025.03.31 |
---|---|
독일의 확장 재정 정책과 그린산업의 기회 (2) | 2025.03.20 |
독일 총선과 유럽 전기차 시장 전망 🚗⚡ (0) | 2025.02.25 |
[주식공부] 씨에스윈드 📊 (1) | 2025.02.18 |
해상풍력촉진법 산자위 통과, 대한민국 해상풍력의 새로운 도약🌊⚡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