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테크

USIM, eSIM, IMEI란? – SKT 해킹 사건으로 다시 주목받는 통신 보안 용어들

북한산 종이호랭이 2025. 4. 29. 14:31
300x250

 

최근 발생한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를 계기로, 우리가 평소 무심코 사용해온 통신 기술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뉴스에서 자주 언급되는 USIM, eSIM, IMEI 같은 용어는 일반 사용자에게는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세 가지 용어의 의미와 차이점, 그리고 SKT 해킹 사건과 관련한 시사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 정의: 가입자의 통신 정보를 담고 있는 물리적인 스마트카드입니다. 대부분의 스마트폰 하단 또는 측면 슬롯에 삽입됩니다.
  • 주요 기능:
    • 가입자 식별번호(IMSI) 저장
    • 인증 키(Ki) 저장
    • 통신사 네트워크 접속 시 인증 수행
  • 특징: 분실하거나 유출되면, 복제·위조의 위험이 존재합니다.

2. eSIM (embedded SIM)

  • 정의: USIM의 기능을 내장 칩 형태로 스마트폰 안에 탑재한 기술입니다. 별도의 물리 카드 없이 원격으로 통신사 정보를 다운로드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주요 기능:
    • 프로파일(가입자 정보)을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관리
    • 여러 통신사 정보 등록 가능 (듀얼 SIM 지원)
    • 물리적 탈착이 없어 보안성이 상대적으로 우수

3. 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 정의: 휴대폰 기기에 부여된 고유 식별번호로, '기계의 주민등록번호'라고도 불립니다.
  • 주요 기능:
    • 분실·도난 기기 추적
    • 불법 단말기 차단
    • 네트워크 등록 기기 관리
  • 특징: IMEI 번호는 변경이 불가능한 것이 원칙이며, 통신사와 제조사가 관리합니다.

📌 결론: 이번 SKT 해킹 사건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

SKT의 HSS 서버가 해킹되면서, 가입자의 IMSI와 인증 키(Ki)가 유출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는 USIM이나 eSIM 내부의 인증 정보와 일치하기 때문에 불법적인 인증 우회 및 통신 스푸핑에 악용될 수 있습니다.

USIM 교체는 일시적인 대응일 뿐이며, 해킹으로 유출된 서버 측 정보(Ki)가 갱신되지 않는 이상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닙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통신망 전체의 보안 체계 강화와 eSIM 전환 시 보안 정책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이 다시 한 번 확인되었습니다.

개인 사용자 입장에서는 IMEI와 USIM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스마트폰 분실, 피싱 문자 클릭 등에 각별히 주의하는 것이 필요 합니다.

반응형